JAMES ROMBERGER

James Romberger’s drawings are in the collections of the Metropolitan, Brooklyn, Newark, Philadelphia and Parrish Museums, Harvard and the Library of Congress. His art has been exhibited at Grace Borgenicht, PPOW, Gracie Mansion and many other galleries in New York, most recently at James Fuentes and the Seoul Museum of Art. Romberger has been published by Marvel, DC/Vertigo, Dark Horse, Image and Fantagraphics; his graphic novels include his Eisner-nominated Post York, and the New York Times bestseller 7 Miles A Second with David Wojnarowicz, that was also on display in the New Museum’s 1999 Wojnarowicz retrospective, and  exhibited in MoMA’s millenium show “Open Ends.” Other works he’s drawn include 2020 Visions, Bronx Kill, Aaron and Ahmed, and the Ignatz-nominated The Late Child and Other Animals. 

CHAE TONGYULL (최동열)

With a color palette as rich as his life story, the works of Chae Tongyull are steeped in literary symbolism and rooted in a deep appreciation for romantic adventure. Born in Busan amidst the Korean war of the 1950s, Chae has travelled the world, eventually seeking his fame and fortune within the U.S. In his twenties, he was the founder of the “Idists” movement, an expressionist group based out of New Orleans. Later, he would move to New York city to become one of the only Asian (and only Korean artists) within the East Village art scene of the 1980s, where he was a contemporary of legends such as Keith Haring and Jean-Michel Basquiat. Since 1993, he has travelled and painted extensively within the Himalayas, exploring remote regions in China, Tibet, Nepal, and India. His works gain inspiration from a diverse range of classic artistic and literary traditions: the prose of Shakespeare, mysterious legends from Korean folklore, the eccentric brushstrokes of Chinese Calligraphy master Pa-Ta-Shan-Jen, Buddhist philosophy, and much more. Because of their rich texture and unique subject matter, his art has been praised and collected for its value in straddling both American and South Korean cultural identities, as well as various places in between.
He has participated in various international exhibitions including within the Bronfman Center in Montreal, Saatchi & Saatchi in NYC, And the Beat Goes On in Shanghai and Chengdu, and are part of permanent collections within the Korean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amsung Lium Art Museum, Daelim Art Museum, and Daejeon Expo.

1951년 부산에서 태어났으며, 20대에 미국으로 건너가 본격적으로 미술을 배우고 작가로 활동을 시작합니다. 최동열 작가는 뉴올리언스에서 표현주의 그룹 ‘Idists’을 결성하였으며, 80년대 뉴욕의 이스트빌리지(East Village)에서 활동한 유일한 한국인 작가로 장-미셸 바스키아(Jean-Michel Basquiat), 키스 해링(Keith Haring) 등의 작가들과 동시대에 활동하였습니다. 몬트리올 브롱프먼센터(Bronfman center, Montreal), 사치 앤드 사치 개관 전(Saatch & Saatch in NYC) 및 뉴욕에서 여러 전시에 참여하는 등 활발한 작품활동을 하였습니다. 1993년부터 티베트 불교미술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 티베트, 네팔 등에서 직접 거주하며 작업을 하였고, 2011년부터 히말라야를 등반하며 고지에서 작업을 하며 ‘히말라야’ 시리즈를 완성하였습니다.

최동열 작가의 작품은 그와 동세대인 한국의 단색화 미술과 달리, 역동적인 북방 노마드 문화에서 한국미의 원천을 찾는 표현주의적 작품으로 미국과 한국 모두에서 독특한 위치를 점하여 주목을 받아왔습니다. 그는 또 80년대 뉴욕 이스트빌리지에서 활동한 인연으로, 2018년 서울시립미술관의 이스트빌리지 아트 전시인 〈이스트빌리지 뉴욕: 취약하고 극단적인〉전을 주최하였고, 현재도 다양한 예술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선화랑, 박여숙화랑, 필립강갤러리, 예화랑, 대구 인당박물관, 부산아트센터 등에서 개인전을 열었습니다. 그의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 삼성 리움미술관, 대림미술관, 대전엑스포 등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Artime Joe

Artime Joe, also known as Yoo In-Jun, is one of Korea’s most important and influential graffiti artists. Since founding JNJ CREW in 2001, he has been instrumental in chronicling the evolution of Korean street art, from its humble beginnings in the early 2000s when there was no graffiti to commanding stages in hip-hop and B-boy performances. Known for his imaginative reinterpretations of international cultural icons like Michael Jordan, Bugs Bunny, and Dragon Ball characters, he introduced “The Cappers” (Cap Man), a distinctive character that has become his most recognizable creation. Beyond national borders, Artime Joe joined the international graffiti crew Stick Up Kids in 2010 and has since travelled to over 20 countries for exhibitions and mural projects across Europe, Asia, and North America. As one of Korea’s most respected Korean graffiti artists, Artime Joe continues to leave an indelible mark on the global graffiti landscape.

한국의 1세대 그래피티 아티스트로 2001년 그래피티 크루 JNJ CREW를 결성하면서 활동을 시작하여, 2000년대 초반 길거리 그래피티부터 시작해서, 힙합 아티스트와 B-boy 무대, 해외 그래피티 투어, 그리고 기업 콜라보레이션까지 한국 그래피티의 역사를 만들어 왔다. 알타임 죠 작가는 캐릭터 구성력, 특유의 컬러감과 레터링으로 8-90년대를 대표하던 마이클 조던, 벅스 버니, 드래곤 볼 등의 캐릭터를 오늘의 캐릭터로 재창조하는 작업과 본인의 캐릭터 ‘The Cappers’를 바탕으로, 그래피티 불모지이던 한국에 그래피티와 스트리트 아트를 즐기는 문화를 만들어 나가고 있다. 또 한국을 대표하는 그래피티 아티스트로 2010년에는 세계적인 그래피티 크루 Stick Up Kids 의 멤버로 합류하였고, 유럽, 아시아, 북미 등을 포함한 20여 개 국가에서 그래피티 프로젝트 및 전시 활동을 하였다.

DROL

At some point, unfamiliar but beautiful graffiti began to take over the underpasses, rooftops, and streets of Seoul, and at the center of it all was the artist Droll. A French-born graffiti virtuoso who embraced Korea as his home in 2016 alongside his Korean wife, Droll’s journey into street art commenced in his teenage years, fueled by a passion for subcultures like rap, hip-hop, and classic comics. His distinct graffiti style, a fusion of underground comics and 19th-century European painting, transforms forgotten corners of Korea—abandoned factories, old walls, and underground passages—into whimsical worlds of fantasy and fairy tales. Droll’s ability to seamlessly blend unfamiliar elements with the historical backdrop of his adopted home has solidified his status as one of Korea’s most important and recognizable graffiti artists. Beyond the streets, he showcases his artistic versatility through illustrations, exhibitions, installations, and tattoos.
Having left his mark in France’s International Biennale and various residency programs, Drol continues his artistic journey in Korea, collaborating on projects commemorating the 130th anniversary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France and Korea, and even joining forces with industry giants like Sony Pictures and Mini Cooper
His chosen artist name, Droll, cleverly reflects the playful duality of a street artist, embodying the transition from ‘DROL’ (clown) to ‘LORD’ (absolute one).

서울의 지하도와 루프탑 그리고 거리 곳곳에 어느 순간 낯설지만 아름다운 그래피티들이 점령하기 시작했고, 그 중심에는 드롤 작가가 있다. 드롤 작가는 프랑스 태생으로 한국인 아내와 2016년부터 한국에서 거주하기 시작한 그래피티 아티스트이다. 랩, 힙합, 고전만화, 카툰 등 서브컬처에 관심이 많던 작가는 청소년 시절부터 거리에서 그래피티를 그리기 시작했다. 그의 특유의 언더그라운드 코믹스와 19세기 유럽 화풍이 결합한듯한 그래피티는 한국에서 지하도, 폐공장, 낡은 외벽과 만나 그곳을 판타지 혹은 동화의 세계로 만들어 주었다. 한국에서는 익숙하지 않은 판타지적 상상이 낡고 오래된 서울의 장소들과 잘 어울린다는 것을 드롤의 그래피티들이 말해주며, 그는 이제 한국을 대표하는 그래피티 작가로 대변된다. 드롤은 또한 특유의 뛰어난 구성력과 회화력으로 일러스트, 전시, 설치 및 타투 등의 작업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프랑스에서는 국제 비엔날레 및 여러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한국에서는 한불수교 130주년 기념 프로젝트 및 소니픽처스, 미니쿠페 등의 콜라보레이션 작업에 참여하였다.
또 그의 아티스트명인 드롤은 ‘DROL (광대)에서 LORD (절대자)’에 이르기까지 정 반대되는 두가지 뜻이 모두 내포된 그야말로 스트리트 아티스트의 정체성을 위트있게 반영하고 있는 이름이다.

BOYANE

Boyane Zelechowski (AKA “Boyane”) is Seoul-based graffiti artist who has proven himself a significant influence on Korea’s international graffiti scene. Originally from France, Boyane brought a fresh perspective to the Korean streets when he moved to Seoul with his Korean wife over a decade ago, captivating audiences with his vibrant illustrations and a skillful interplay of contrasting colors. His work seamlessly integrates with the historical charm of Seoul’s streets, buildings, and exterior walls, quickly establishing Boyane as a leading figure in Korea’s street art scene.

While initially influenced by European subcultures, Boyane’s artistic evolution took an intriguing path as he immersed himself in Korean culture. His distinctive style, characterized by intricate patterns and oriental hues, effortlessly evolved to incorporate Korean traditional elements, reflecting the cultural richness of his adopted home. Boyane continues to take on new challenges based on his innate artistic sense and illustration ability, and in addition to murals, has participated in numerous international exhibitions, illustrations, and corporate projects.

10년전 한국인 아내와 결혼하며 한국 스트리트 아트씬에 나타나, 유럽 언더그라운드 카툰풍의 그래피티를 유행시키며 한국에 일러스트 그래피티, 외국인 그래피티 아티스트 시대를 연다. 그의 강렬한 일러스트 그리고 이와 대비되는 절제된 색체 구성은 서울의 오래된 거리, 건물, 외벽들과 묘한 조화를 이루며 단숨에 그를 한국을 대표하는 스트리트 그래피티 아티스트의 한 사람으로 올려놓았다.
프랑스 태생인 보얀 작가는 유럽의 서브컬쳐 스타일의 작업을 주로 하였는데, 동양적 색체와 캐릭터가 엉겨 패턴처럼 보이는 특유의 작품 스타일은 한국에 거주하며 자연스레 한국의 전통적 패턴과 오브제를 차용한 스타일의 작품들로 나아가게 해 주었다. 그는 타고난 예술적 감각과 일러스트레이션 능력을 바탕으로 작품의 새로운 도전을 이어가며, 벽화 외에도 다수의 전시 및 일러스트레이션, 기업 프로젝트 등에 참여하고 있다.

TingaTinga Arts Collective

From a creative co-op in Tanzania emerges “TingaTinga Arts Collective,” a vibrant showcase of 8 artists breathing new life into the rich visual storytelling traditions of East Africa. Influenced by visionary artist Edward Saidi TingaTinga’s work in the 1960s (where the movement gets its name), this collective carries the torch of this distinctive African art form renowned for its bold and brilliant colors, characters, and captivating narratives.

Originally constructed using bicycle paint on low-cost materials such as masonite squares, ceramic fragments, and wood, the evolution of TingaTinga has come a long way. And now for the first time in the collective’s history, their art is being made public on-chain in the form of NFTs, continuing a global journey of humble origins that unites us all in a universal language of color, imagination, and aspirations.

Proceeds of this collection go to help fund the continuous operation of TingaTinga Arts Collective. With each purchase, you contribute your voice to this movement’s global narrative, and connect yourself to a Tanzanian tradition that remains unbroken six decades after it was founded.

팅가팅가 아트 콜렉티브

아프리카 탄자니아의 한 창작 협동조합에서 동아프리카의 풍부한 시각적 스토리텔링 전통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는 8명의 예술가들의 생생한 쇼케이스인 “TingaTinga Arts Collective”가 NFT로 작품으로 선보입니다. 1960년대 선구적인 예술가 Edward Saidi TingaTinga의 작품 (훌륭한 작품성으로 독보적인 아프리카의 한 예술 분야로 정착하게 된 계기) 의 영향을 받은 이 예술과 예술 단체는 대담하고 화려한 색상, 캐릭터, 아프리카를 고스란히 느낄 수 있는 매혹적인 표현으로 유명한 독특한 아프리카 예술 형식으로 영원히 지속적으로 그 명맥을 이어갈 훌륭한 예술 분야이자 작품들입니다. 아프리카 예술에 있어서 전통예술과 현대미술이 공존하는 선봉의 횃불을 들고 있는 예술 세계인 팅가팅가 아트 작품을 소개합니다.

원래는 자전거 페인트로 저렴한 재료인 사각 메이소나이트, 도자기 조각 및 나무와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되었으며, 팅가팅가의 진화는 긴 여정을 거쳤습니다. 이제 역사상 처음으로 그들의 예술이 NFT 형태로 공개되며, 이것은 색상, 상상력 및 희망을 위한 보편적인 언어로 우리 모두를 하나로 만드는 그 기원의 세계 여정을 이어가고자 합니다.

FLOX

With her roots firmly stamped within the street art era of the early 2000’s, FLOX’s trademark style derived from the natural world is unquestionably recognisable today.
The artist has always maintained a philosophy of “making art for the people” and making her art accessible which saw FLOX take her own artistic lane by avoiding the traditional artist/gallery relationship. Today, FLOX is one of Aotearoa’s most recognised artists, spreading her ever expanding wings both locally and internationally with mural projects, commissions, product lines, brand colabs and workshops.
Painting site specific murals, FLOX gives voice to local narratives and environmental issues, often in collaboration with surrounding communities. As her brand has grown globally, FLOX has travelled ever wider, creating works that celebrate native, endangered or rare flora and fauna around the world, determined to put the subject of nature and it’s ever precarious position in this world, at the forefront of her practice.

2000년대 초반 스트리트 아트 시대에 뿌리를 단단히 내린 아티스트 FLOX의 트레이드마크 스타일은 오늘날 자연계에서 파생된 것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인정받고 있습니다.
FLOX는 항상 사람들을 위한 예술을 만들고 그녀의 예술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는 철학을 유지해 왔으며, 이는 전통적인 예술가/갤러리 관계를 피함으로써 FLOX가 그녀만의 예술적 길을 걷게 된 것입니다.
오늘날 FLOX는 아오테아로아(뉴질랜드)에서 가장 인정받는 예술가들 중 한 명으로 벽화 프로젝트, 브랜드 콜랩 및 워크샵을 통해 국내외적으로 그녀만의 날개를 펼치고 있습니다.
특정 현장에서 벽화를 그리는 FLOX는 종종 주변 지역 사회와 협력하여 지역의 이야기와 환경 문제에 목소리를 제공합니다.
FLOX는 지금도 활발하게 활동하며 전 세계의 토종, 멸종 위기에 처하거나 희귀한 동식물을 기념하는 작품을 만들었고, 자연이라는 주제와 그것이 이 세상에서 항상 불안정한 위치에 있다는 것을 항상 생각하고 실천하고있습니다.

SWEATS

SWEATS is the art & creative studio. Producing: artworks, prints, illustration, design, lettering, apparel, art toys & murals. SWEATS artworks can be characterised by their expressionistic and textural representations of figures and objects. His work explores the multifaceted nature of the human experience, tapping into an explosion of senses while retaining a playful naivety. Within this SWEATS creates bold contrasts and highlights different aspects of feeling and emotion to engage intrigue and connection.
With a Bachelor of Art & Design, SWEATS has over 20 years working internationally in the creative arts, achieved industry awards in Aotearoa and Australia for design, recently winning gold at NZ Pride & Print. Constantly evolving, his multidisciplinary work has spanned a wide variety of commercial and personal projects ranging from painting, design, illustration, and lettering, applied to areas of art, branding, print, packaging, merchandising, and murals. SWEATS works from a shared studio in Grey Lynn, Tāmaki Makaurau, Aotearoa, and is co-founder of the artist workspace Eyes On Fire Gallery.

SWEATS는 아트 & 크리에이티브 스튜디오입니다. 예술품, 판화, 일러스트레이션, 디자인, 레터링, 의류, 미술 장난감 및 벽화 등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SWEATS 예술품은 형상과 물체에 대한 표현주의적이고 질감적인 표현으로 특징지어질 수 있습니다. 그의 작품은 유희적인 순수함을 유지하면서도 감각의 폭발을 활용하여 인간 경험의 다면적인 특성을 탐구합니다. 그 안에서 SWEATS는 대담한 대조를 만들고 흥미와 연결을 위해 감정과 감정의 다른 측면을 강조합니다.
예술과 디자인 학사 학위를 받은 SWEATS는 국제적으로 창작 예술 분야에서 20년 이상 근무했으며 아오테아로아(뉴질랜드)와 호주에서 디자인 부문에서 업계 상을 수상했으며 최근 NZ Pride & Print에서 금상을 수상했습니다.
끊임없이 진화하는 그의 다학제적인 작업은 그림, 디자인, 일러스트레이션 및 레터링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상업 및 개인 프로젝트에 걸쳐 있으며 예술, 브랜딩, 인쇄, 포장, 상품 및 벽화 분야에 적용됩니다.
SWEATS는 Grey Lynn, Tāmaki Makaurau, Aotearoa에 있는 공유 스튜디오에서 작업하며 예술 작업 공간 Eyes On Fire Gallery 갤러리의 공동 설립자입니다.

TCAG

TCAG stands at the forefront of the web3.0/Metaverse revolution, redefining how we interact with our digital landscape with a visionary blend of technology and creativity. Utilizing 3D content, immersive sound effects, blockchain, AI, and digital fashion, TCAG is crafting a groundbreaking virtual hub that seamlessly integrates space-demonstration-purchase-delivery within the Metaverse. Using their hyper-virtual reproductions, TCAG aims to make virtual experiences as smooth as reality, and as easy as trying on a new set of clothes.
In addition, TCAG is spearheading a venture into the art world, envisioning a future where NFTs are seamlessly integrated within the Metaverse. Presenting a collection of 3D artworks rooted in the concept of ‘Digital Native,’ these pieces exist in the digital realm and are shaped by cutting-edge technologies like AI, ML, blockchain, and cloud-based data collection. “Digital Native Egg” represents a paradigm shift in creativity by showcasing the transformative power of NFTs within the constantly evolving landscape of data and the Metaverse.

TCAG는 메타버스 플랫폼 중심의 컬쳐와 커머스 패러다임을 만들어 가고 있는 web3.0/메타버스 그룹입니다. 3D 콘텐츠, 사운드 이펙트, 블록체인, AI 그리고 디지털 패션 브랜드를 활용하여 글로벌 아티스트, 기업과 함께 새로운 버추얼 콘텐츠의 메타버스 허브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메타버스 상에 하이퍼 버추얼 재현을 통한 스페이스-시연-구매-배송의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구축하고 버추얼 패션 및 걸쳐 스페이스를 구연해 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NFT의 메타버스 상에서 자유로운 구현을 비전으로 TCAG의 비주얼 아트 프로젝트를 구축해 나가고 있습니다. TCAG는 이러한 비전 하에 ‘디지털 네이티브’에 초점을 두고 디지털 세상에서 존재하며 AI, ML, 블록체인, 클라우드 등 다양한 IT 기술을 활용하여 제작된 3D 기반의 아트 콘텐츠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이번 컬렉션은 ‘디지털 네이티브’ 콘텐츠의 NFT 및 메타버스를 통한 창조와 재창조의 의미를 담아 제작되었습니다.

Cjroblue

“Capturing the Nobel Values of Everyday Life”

With a career that spans nearly two decades, Choi Jung Hyun (aka CJroblue) is a celebrated illustrator and artist whose contributions to NFT history in Korea is nothing short of indispensable. Drawing inspiration from the rich tapestry of daily life in Seoul, CJroblue masterfully captures fleeting moments often overlooked by busy city-goers, and channels them into emotionally charged artworks that force us to linger on the small things.
At the heart of CJroblue’s artistic endeavors is a mission to convey healing and comfort to viewers about their own everyday lives. Through his artwork, he unveils the sublime beauty hidden within the ordinary, and invites audiences to explore the emotions, memories, and connections that lie hidden just beneath the surface. In doing so, he hopes we can see the small things more clearly, and each other with greater interest and empathy.
Beyond his own art, CJroblue boasts an impressive collaboration history with numerous domestic and global brands, including contributing illustrations for Warner Bros Korea’s “Harley Quinn: Birds of Prey” as well as Hyundai, Rolls-Royce, LG subsidiaries, Adobe, Toyota, Samsung, and more.

최정현(CJroblue)

“일상의 고귀한 가치를 담아내다”

CJroblue라 불리는 최정현 작가는 지난 20년 가까이 한국에서 스타 일러스트레이터이자 작가로 활동해 오며 한국의 NFT 역사에서도 빼놓을 수 없는 아티스트입니다. 우리들의 ‘일상’ 혹은 도시에서의 하루하루에서 주로 영감을 얻으며 살아가면서 누구나 겪지만 흔히 넘길 수 있는 근본적인 감정의 순간을 기록하듯 작품으로 담아냅니다. 또한 보이는 것 너머의 진정한 가치와 변하지 않는 아름다움의 위대함을 발견하고 찾아서 작품을 통해 전달하고자 많은 노력을 합니다.
감상자들에게 힐링과 위로를 전하고 싶어하는 최정현 작가의 작품은 그 만의 주제와 독보적 화풍으로 감상자들 자신의 경험을 작품에 대입시키게하여 감정이 움직이고 ‘공감’이라는 울림을 줍니다. 그래서인지 그의 작품은 체온의 온도가 느껴지듯 작품이 따뜻합니다.
또한, 최정현 작가는 다수의 국내 및 해외 글로벌 회사들과 브랜드들 등과 화려한 콜라보레이션 경력이 있습니다. 워너 브라더스 코리의 버즈 오브 프레이(Harley Quinn: Birds of Prey)의 홍보용 일러스트 작품과 현대자동차, 롤스로이스, LG 계열사 홍보용 작품, Adobe, 도요타, 삼성, 한국의 유명 뮤지션들 앨범 표지 작품까지 모두 열거하기 어려울 정도의 화려한 경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Skumbuzo Salman

Skumbuzo “Skubalisto” Salman is a respected artist based in Cape Town, South Africa known for his impactful work addressing social justice, identity, and belonging. With a background in visual and fine arts, Salman has spent the past decade crafting a unique and engaging practice. He’s not just a painter; he’s a thoughtful voice in his community, using art as a tool for cultural awareness. Although he has painted murals in Mozambique, Zimbabwe, Kenya, Tanzania, Italy, and the US, Skumbuzo is particularly passionate about the future of young people on the African continent and is committed to making a lasting impact through mural projects and advocacy of the arts.

스쿰부조 살만은 사회 정의, 정체성 및 소속감을 다루는 영향력 있는 작업으로 유명한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타운에 기반을 둔 존경 받는 예술가입니다. 시각 예술과 미술에 대한 배경을 가지고 있는 스쿰부조 살만은 독특하고 매력적인 작업을 만드는 데 지난 10년을 보냈습니다. 그는 단순한 화가가 아니라 예술을 문화적 인식의 도구로 사용하는 그의 공동체에서 사려 깊은 목소리입니다. 비록 그는 모잠비크, 짐바브웨, 케냐, 탄자니아, 이탈리아, 그리고 미국에서 벽화를 그렸지만, 스쿰부조는 특히 아프리카 대륙의 젊은이들의 미래에 대해 열정적이고 벽화 프로젝트와 예술 옹호를 통해 지속적인 영향을 만드는 데 전념하고 있습니다.

Isaac Zavale

Isaac Zavale (b. 1988 – Maputo, Mozambique) is a Mozambican fine artist and street artist current living in Johannesburg, South Africa. He graduated from the Artist Proof Studio in Johannesburg in 2012 and proceeded to co-found the printmaking studio Prints on Paper (POP) and the Alphabet Zoo zine and printmaking workshops with artist partner Minenkulu Ngoyi. In 2015 he and Ngoyi were invited to be guest lecturers for 3rd-year students for alternative printmaking, zine-making and bookbinding courses at the University of Witwatersrand in Johannesburg.

Zavale’s work focuses on the social and political issues in Southern Africa seen through the lens of a Mozambican immigrant. His background in mural painting and sign-writing is evident in his recent bodies of work, mostly consisting of inner-city landscapes that depict honest representations of Johannesburg street scenes, placing a spotlight on how people from all around Africa get to use the space in diverse ways, to create, to operate and to take ownership of the space.

Zavale has participated in numerous exhibitions, both locally and internationally including If Yesterday Was Tomorrow What Is Today, BODE Projects, Berlin (2020 2021); Joni Ya Milenge, Kalashnikovv Gallery, Johannesburg (2020); Alphabet Zoo, Fak’ugesi African Digital Innovation Festival, Johannesburg (2019); andGRAFIKAMA (Service Peinture) Exposition Collective, Nantes, France (2016).

아이작 자발레(B. 1988 – Maputo, 모잠비크)는 현재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 살고 있는 모잠비크 출신의 순수 예술가이자 길거리 예술가입니다. 그는 2012년 요하네스버그에 있는 예술가 증명 스튜디오를 졸업하고, 인쇄 스튜디오인 Pop (Prints on Paper)와 알파벳 동물원(Alphabet Zoo zine)을 공동 설립하고 예술가 파트너인 Minenkulu Ngoi와 함께 인쇄 워크숍을 진행했습니다. 2015년 그와 Ngoi는 요하네스버그에 있는 Witwaterrand 대학의 대체 인쇄, Zine 제작 및 제본 과정을 위한 3학년 학생들의 초청 강사로 초대되었습니다.

자발레의 작품은 모잠비크 이민자의 렌즈를 통해 본 남아프리카의 사회적, 정치적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벽화 그리기와 사인 쓰기에 대한 그의 배경은 요하네스버그 거리 장면의 정직한 표현을 묘사하는 도시의 풍경으로 대부분 구성된 그의 최근 작품에서 분명하게 드러나고, 전 아프리카 사람들이 어떻게 공간을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하고, 창조하고, 운영하고, 그 공간의 소유권을 가질 수 있는지에 스포트라이트를 비추고 있습니다.

자발레는 국내 및 국제적으로 수많은 전시회에 참여해 왔으며, If Yesterday Was Tomorrow What Is Today, BODE Projects, Berlin (2020 2021); Joni Ya Milenge, Kalashnikovv Gallery, Johannesburg (2020); Alphabet Zoo, Fak’ugesi African Digital Innovation Festival, Johannesburg (2019); andGRAFIKAMA (Service Peinture) Exposition Collective, Nantes, France (2016) 등이 포함됩니다.

Lisolomzi Pikoli

Lisolomzi Pikoli (b. 1989) is a fine artist, illustrator & muralist from South Africa. His work aims to interpret the mechanics of the modern world through the lens of our inherited wisdom. He creates free-form, expressive figurative compositions which he explores through painting, graphic, installation and mural work. Lisolomzi has shown work individually and in group shows in Cape Town, Johannesburg, Berlin, London, Tokyo, Lille, Amsterdam and Rotterdam. He has also been hosted as an artist-in-residence by the National Arts Festival, Trinity Sessions, Soul City movement and the Keleketla!Library. In August 2017, he was selected as one of Mzansi’s (South Africa’s) Top 100 Young Independents.

 Lisolomzi Pikoli (b. 1989)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의 훌륭한 예술가, 일러스트레이터, 벽화가입니다. 그의 작품은 우리가 물려받은 지혜의 렌즈를 통해 현대 세계의 역학을 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그는 그림, 그래픽, 설치 그리고 벽화 작업을 통해 탐구하는 자유 형식의 표현적인 형상화 작품을 만듭니다. Lisolomzi는 케이프타운, 요하네스버그, 베를린, 런던, 도쿄, 릴, 암스테르담 그리고 로테르담에서 개인적으로 그리고 그룹 쇼에서 작품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는 또한 국립 예술 축제, 트리니티 세션, 소울 시티 무브먼트와 켈레케틀라 도서관에 의해 상주 예술가로서 주최되었습니다. 2017년 8월, 그는 Mzani의 (남아공의) 100대 젊은 독립가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습니다.

Bushy Wopp

 Bushy Wopp is an artist and illustrator based in Cape Town, South Africa. His first love is mural art which he uses as a medium to uplift his community. African identity and pride are important topics in his art, with themes such as equality, afro-futurism, unity and street culture running throughout. Bushy Wopp has established a distinct and unique style that is renowned but continues to play with his artistic medium without boundaries or limitations.

부시 웁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타운에 기반을 둔 예술가이자 일러스트레이터입니다. 그의 첫사랑은 그가 공동체를 고양시키기 위한 매개체로 사용하는 벽화 예술입니다. 평등, 아프로 퓨처리즘(Afro-Futureism), 통합 및 거리 문화와 같은 주제들이 전반에 걸쳐 있는 그의 예술에서 아프리카의 정체성과 자부심은 중요한 주제들입니다. 부시 웁은 유명하지만 경계나 제한 없이 그의 예술적인 매체를 가지고 계속 연주하는 독특하고 독특한 스타일을 확립했습니다.

KangCar

“Journey of exploring the dynamic inner strength and beauty.”

For Minseok Kang (aka KangCar), nothing goes to waste. As a mixed-media artist based in Seoul (Korea), he squeezes every bit he can out of his creative process, even going so far as to save paper trimmings, paint drippings, and canvas clippings for later use. When he has enough, these scraps are then meticulously crafted into ice cream cone sculptures that seem to positively drip with the “leftover” juices of his previous works, namely, cars.
Painting vehicles is an obsession of KangCars. As the ultimate consumer product, they are an apt metaphor for exploring the reality of modern urban life. Rendered in shiny acrylic paint, they are instantly covetable, while their frenzied brushstrokes stimulate speed and the allure of danger. Always on the go, always racing past each other, his paintings offer a wild ride into the heart of our own desire to possess, surpass, and flaunt objects as well as each other, no matter the cost.
Although KangCar’s ice cream cone series is a direct byproduct of this process, they represent leisure and slow enjoyment, an irony that is not lost on the artist. Rendered and digitized forever into NFT format, KangCar’s ice cream cones will never melt, and remind us to take a second to enjoy the sweetness of life, which won’t last forever.
KangCar has exhibited and collaborated on numerous exhibitions, including the 2017 Jeonnam Moto Festival, contributed works for Moto Magazine’s cover issue, MINI Motors, Hyundai Motors and now experiments with NFTs, AR, and metaverse related artistic practices.

강카

“역동적인 내면의 힘과 아름다움을 찾아가는 여정”

강카라 불리는 강민석 작가는 작업 후에 남겨진 아크릴이나 휴지 조각 등을 모아 아이스크림 조각을 만들어 NFT로 발행하는 작가입니다. 잘라낸 아크릴 조각들 위에 휴지나 솜뭉치 원색의 아크릴들을 올려, 형형색색의 아이스크림을 만들어 냅니다. 우연히 아이스크림 작업을 하게 되었지만, 그 근간에는 작가를 대표하는 자동차를 소재로 한 작품세계가 있습니다. 강카 작가는 자동차의 속도와 움직임 그리고 색상을 광택있는 아크릴 물감의 역동적인 조합을 통해, 현대인의 내면의 갈등과 경쟁을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자동차의 힘과 역동성에 빗대어 표현합니다.
자동자 작품의 남은 조각들로 표현한 아이스크림 조각은, 같은 재료와 아크릴 조각으로 전혀 다른 작품과 작품 세계를 표현한 것입니다. 경쟁과 속도에 지친 도시의 삶에서 형형색색의 녹지 않는 아이스크림은 한 번씩 찾아오는 꿈 같은 휴식과 즐거움을 표현합니다. 도시 풍경에서 시작한 강카 작가의 작품 세계는 도시인의 내면의 갈등을 거쳐 그 파편이 휴식으로 재탄생되는 작품을 통해 도시인의 삶에 관한 다양한 성찰을 하도록 해줍니다.
NFT 및 AR과 접목한 작업, 메타버스 등에서도 다양한 실험적인 방법들을 선보이고 있으며 2017 Rock과 함께하는 전남 모토페스티벌, MINI 자동차, 현대 모터스, 모토매거진 커버 작품, 등 다수의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하였습니다.

RICK PROL

Rick Prol was born and raised in New York City where he currently lives and works. He attended Cooper Union College in 1980 and began showing his work publicly in 1982, during the then burgeoning East Village art scene. As art artic Eleanor Heartney writes, “The East Village art scene of the 80`s thrived on the romance of slumming in an era of widespread economic prosperity. Rick Prol was an icon of that era, known for his cartoonish tableaux of mayhem, murder and suicide set in a rat-infested world somewhere east of First Avenue” (Art in America, 1993)

Klara of the Laughing Roses

Composed in near secrecy and complete anonymity over the course of ten years, “Klara of the Laughing Roses” emerges as an enigmatic artist whose work is shrouded in mystery. As an art teacher from the sleepy southern town of Daegu, Korea, she spent nearly a decade of nights in quiet devotion to her craft, diligently blending molten beeswax and pigment onto wood, showing her creations to no one. The result is a collection as unsettling as it is alluring.
Although “Klara of the Laughing Roses” is certainly not a household name in the art world (nor even her real name), we often forget the empowering nature that being an artist on Web3 can have, especially for members of historically unrepresented backgrounds in the visual arts. Remote villages, lack of art education, and even gender and generation all play a role in who gets “seen.” And although NFTs give artists the ability to craft their own identity and sell their own story behind a veil of secrecy, their motives entirely their own, the space is not immune to issues of access.

Billed as an egalitarian space where all creators are “created equal,” OrangeHare believes in the potential of NFTs to break barriers, and is committed to giving voices to those who, for whatever reason, may not have been heard clearly- including “Klara of the Laughing Roses.”

All works are original encaustic on wood creations assisted in production by MidJourney.

만개한 장미의 클라라

10년에 걸쳐 거의 비밀리에 완전한 익명으로 작품을 완성한 “웃는 장미의 클라라”는 작품이 미스터리에 싸인 미스터리의 예술가입니다. 한국의 대구에서 미술 교사로 활동하는 그녀는 직접 밀랍과 색소를 녹인 전통방식의 밀랍 작품을 누구에게도 공개하지 않고 거의 10년의 시간 동안 밤 시간을 이용해 조용히 창작해왔습니다. 10년의 보이지 않는 헌신으로 매혹적인 컬렉션이 탄생했습니다.

비록 “웃는 장미의 클라라”가 확실히 예술계에서 누구나 아는 이름은 아니지만, 우리는 Web3에서 예술가에게 힘을 실어주는 능력, 특히 시각 예술에서 전통적인 권위의 배경을 갖지 않은 이들에게 예술가로서 권위를 부여하는 능력을 종종 잊곤 합니다. 외딴 마을, 부족한 예술 교육, 그리고 심지어 성별과 세대 모두는 “보여지는데” 필터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NFT가 예술가들에게 그들만의 정체성을 만들고 그들의 작업의 동기가 되는 그들만의 이야기를 판매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지만, NFT의 공간은 접근의 문제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모든 창작자들이 “평등하게 만들어지는” 평등주의적인 공간으로 묘사되는 오렌지헤어는 NFT가 장벽을 깰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고 믿으며, “웃는 장미의 클라라”를 포함하여 어떤 이유로든 명확하게 들리지 않았을 수 있는 사람들에게 목소리를 제공하는 데 전념하고 있습니다.

모든 작품들은 미드저니의 제작에 도움을 받은 독창적인 밀랍 작품을 기반으로 하였습니다.

Joon Choi

After studying in Japan and honing his skills as a professional photographer in the United States, Joon Choi returned home to Korea in 1988, where his near-flawless preparation and distinctive textural sensibilities catapulted him to become a top-tier photographer. Soon, he was handling advertising campaigns for major domestic brands such as Samsung, LG, SK, Lotte, and more, earning him the title of a legend in the Korean advertising industry with over two decades of experience. After a chance encounter with some relics, he embarked on a journey to embrace the everyday imperfection he witnessed outside his sterile studio and allow nature and chance to shape his craft. The result has been nothing short of magnificent, and he has since produced some of his life’s best work, including profiling the “Gilt-bronze Pensive Maitreya Bodhisattva’ and taking portraits of Jeju Island’s elder female divers (Haenyeo). Since making this transformation to commercial photographer to artist, Joon Choi has held solo exhibitions at the Busan Museum of Art, Seoul Museum of Art, Fukuoka National Museum, Miyazaki Provincial Museum of Art, and UNESCO in Paris, and has participated in a number of group exhibitions, including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His latest “Frozen Flowers” series is a continuation of his artistic journey into more abstract, but honest, territory, and aimed at getting closer to the artist’s own truth about the deep paradoxes of life we all witness and participate in.

준초이 그는 한국 광고 사진계의 전설이자, 새롭게 작가주의 사진가로 거장의 길을 걷고 있는 사진작가이다. 국내 광고계에서 20년 이상 정상의 자리를 지켜오다 우연히 시작한 유물 촬영은 그를 작가주의 사진가의 길로 이끌었다. 처음 낯설기만 했던 유물에서 그는 축적된 시간을 발견하기 시작했고, 이렇게 그의 대표작이 된 미륵반가사유상 그리고 제주도 해녀의 사진은 특유의 시간과 역사를 담아내며, 국내외 박물관 순회 전시를 거쳐 그를 거장의 반열에 올려놓았다. 그의 최근작인 ‘얼음꽃’ 시리즈는 직접 얼린 꽃을 사진에 담아내는 작업으로, 찰나와 영원 그리고 멈춤과 움직임의 이율배반을 통해 삶과 작가 자신의 진실에 더 다가가는 것을 목표로 근래 작가가 천착하고 있는 작업이다.

일본 유학과 미국에서 사진작가 활동을 거쳐 88년 한국에 귀국한 준초이는, 완벽에 가까운 사전준비와 특유의 텍스처의 감각으로 국내 대기업의 광고를 도맡아 하며 최고가의 사진작가로 설 수 있었다. 지금은 완벽한 사진에서 벗어나 자연과 우연에 사진을 내맡기며 오히려 대상이 가진 이야기를 더 진솔하게 드러난다. 동시에 그 특유의 텍스처의 감각은 피사체 이면의 깊이를 더하며 그의 작품은 명상과 성찰로까지 관객을 초대한다.

준초이는 부산시립미술과, 서울시립미술관, 후쿠오카 국립박물관, 미야자키 도립미술관 그리고 파리 유네스코에서 개인전을 개최하였으며 한국 국립현대미술관을 포함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또 국내 삼성, LG, SK, 롯데 등 굴지의 기업들의 광고 사진을 담당했다.

Andreas Sterzing

Andreas Sterzing is a German editorial and portrait photographer. Based in New York, Sterzing has worked over 20 years with international magazines.

In 1983 Andreas launched his career with photos of Pier 34, taking part in the project with stories about the East Village art scene where he had been an active participant. Since then he has worked on editorial magazine commissions. His work has been published in many prestigious publications including Stern, Der Spiegel, Geo, Zeit Magazin, Marie-Claire, King Kong and the New York Times Magazine. 

Since 2016 Andreas’ work on the Pier 34 project, the East Village art scene, and the Alphabet City neighborhood has been featured – mainly as analogue or digital slideshows – in exhibitions in museums and galleries internationally, including the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SeMA (Seoul Museum of Art), KW-Berlin, Museo Reina Sofia in Madrid, Jeu de Paume in Paris and among others.

In 2020 his portrait David Wojnarowicz (Silence = Death) (1989) was named one of “The 25 Most Influential Works of American Protest Art Since World War II” by the New York Times Magazine (No.19 on the list).

Since moving to England in 2005, Andreas has been dividing his time between London and Cornwall, where he is a Senior Lecturer at Falmouth University’s Institute of Photography.

안드레아 스터징(Andreas Sterzin)g의 이스트빌리지와 <Pier34>의 무너져가는 폐허를 찍은 사진은 도시 재개발로 지금은 사라진 당시의 거칠지만 성황을 이루었던 거리 예술을 엿볼 수 있게 해준다. 안드레아 스터징은 독일 출신으로 인물 사진을 다양한 사진 작업을 해온 사진작가이다. 주로 뉴욕에서 활동하며 20년 넘게 국제적으로 발행되는 매거진에서 작업을 해왔다.

스터징은 그가 열정적으로 참여했던 이스트빌리지 미술계를 담은 사진 프로젝트를 진행했으며, 1993년에는 폐공장에 아티시트들이 점령하여 벽화 작업을 한 ‘피어34’ 프로젝트의 사진 시리즈로 작가로서의 커리어를 시작하게 된다. 이때부터 그는 주요 매거진에서 의뢰를 받아 작업을 해왔으며, 그의 작업은 스턴(Stern), 슈피겔(Der Spiegel), 지오(Geo), 자이트 매거진(Zeit Magazin), 마리클레어(Marie-Claire), 킹콩 King Kong), 그리고 뉴욕타임스 매거진(New York Times Magazine ) 등 다수의 권위 있는 출판물과 언론에 실리게 되었다. 2016년 이후 그의 주요 작업인 ‘피어34’ 프로젝트, 이스트빌리지 아트, 그리고 이스트빌리지 근방의 알파벳 시티(Alphabet City)를 기록한 프로젝트는 여러 세계적인 미술관과 갤러리에서 주로 슬라이드쇼 형식으로 전시되는데, 여기에는 휘트니 미술관(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서울시립미술관, 베를린 KW 인스티튜트(KW-Berlin), 마드리드 레이나 소피아 국립미술관((Museo Reina Sofia in Madrid), 파리 죄드폼 국립미술관((Jeu de Paume in Paris)이 포함되어 있다.

2020년에는 <데이비드 워나로비치 (침묵=죽음)>(1989년작)이라는 워나로비치를 담은 그의 사진이 뉴욕 타임스 매거진의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가장 영향력 있는 저항 미술 25점” 에서 19위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스터징은 2005년 영국으로 이주한 이후 콘월에 위치한 팔머스(Falmouth)대학 사진학과에서 부교수로 일하고 있으며, 런던과 콘월을 오가며 거주하고 있다.

WEZT

“A wall that becomes art, endures.”

Although Lee Seok-Kyu (aka WEZT) is certainly a graffiti artist, he prefers to think of himself as a “Wall Explorer,” a man of global taste. After “exploring walls” (ahem, painting) in over 30 countries and collaborating with world famous megastars and brands such as BLACKPINK, J-Hope (of BTS), KIA Motors, Samsung, and KG Mobility Tivoli, we say he’s earned the title.
And at the same time, nobody can say he sold out. Inspired by contemporary internet memes and comic-book characters, WEZT’s distinct bubble letters harken back to the old-school graffiti greats, which he harnesses enthusiastically. Due to the raw nature of his work and the clear respect he pays to the past, he is a rare breed of graffiti artist that is well-respected by casual pedestrians and graffiti aficionados alike, especially in his native city of Seoul
WEZT is currently a member of the graffiti crews BAMC and SKA (based in LA).

위제트

“예술이 되어 지속되는 벽”

2019년 아시아 그래피티 대회에서 우승한 작가로 세계 30여 개국을 다니며 활동했으며 현재는 미국 LA의 BAMC 와 SKA 의 크루 일원으로 활동 중입니다. 활기찬 작품으로 도시 풍경을 비롯해 정지되고 고정된 다양한 것들에 생명을 불어넣는 작가이며 ‘WALL EXPLORER (벽 탐험가)’ 라는 슬로건으로 그래피티 작품을 할 벽을 찾아 서울 곳곳을 다니며 이슈되는 인터넷 밈이나 코믹한 캐릭터들을 그래피티 아트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위제트 작가의 작품은 스트리트 느낌의 그래피티 아트의 감성과 텍스트의 특징과 현대적인 그래피티 기법을 혼합한 시그니처 버블 스타일, 위트있는 표현들이 역동적이게 담겨있습니다. 번화한 도심에서 숨겨진 모퉁이에 이르기까지 그의 다채로운 창조물은 그가 만지는 모든 표면에 생명과 에너지를 불어넣습니다. 벽이 캔버스가 되어 컬러 스프레이가 아트로 완성되고 매세지를 전달하는 그의 작품은 생동감 있는 패턴, 다채롭고 선명한 색상, 생각을 자극하는 개념을 혼합한 그 만의 독창적인 스타일로 예술 애호가와 행인 모두를 사로잡습니다.
방탄소년단 제이홉’ 화보, 블랙핑크 뮤직비디오, 빅뱅 등 많은 뮤지션들을 비롯하여 기아자동차, 그래피티 아트 트럭, 삼성 노트북, 티볼리 자동차 광고 등에 참여했으며 다양한 콜라보레이션을 함께했습니다.

AndyJay

“An NFT Artist with Divine Gifts Just for You”

Joo YeonHui (aka AndyJay) is a Korean artist on a mission to feed your soul. Her extraordinary talent has garnered international acclaim, with her works showcased at prestigious venues such as the Carrousel du Louvre in Paris, and she was even featured as an up-and-coming NFT artist by the esteemed “Contemporary Art Curator” publication.
At the heart of AndyJay’s art lies an enchanted world where picture-perfect picnic blankets play host to exquisite pastries and cakes, vintage wines, and luscious fruit jams, while the gentle sun’s rays, filtering through the foliage, cast mesmerizing reflections on these delectable treats. The artist offers up these idyllic picnic scenes to her audience like a gift, giving us a glimpse of the grand celebration of life as well as the timeless appeal of fairy tales. And if you look closely, you can even spot guests: Two rabbits by the name of Andy and Jay (like the name!)
However, life isn’t always a picnic. Amidst the allure of the feast, AndyJay interweaves subtle religious allusions that muse on the nature of joy and pleasure amidst the eternal. This prompts a viewer to reflect on the fleeting nature of life, and urges us to enjoy it while we can.

앤디제이

“당신에게 줄 신의 선물을 고르는 NFT 아티스트”

앤디제이(AndyJay/ 주연희) 작가는 당신의 영혼을 위한 작업을 하는 한국의 아티스트입니다. 그녀는 파리의 카루젤 뒤 루브르(Carrousel du Louvre)와 같은 권위 있는 장소에 작품을 선보이고 국제적인 찬사를 얻었으며, 권위있는 간행물 ” Contemporary Art Curator(오늘의 아트 큐레이터)” 에서도 그녀를떠오르는 NFT 아티스트로 소개하는 등 최근 주목할 행보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앤디제이 작가는 화려한 케이크가 놓여진 피크닉 테이블을 그리는 작가입니다. 피크닉 담요 위로는 화려한 홀케이크와 와인 과일 잼 등의 소품이 올라가고 그 위로 나뭇잎 사이를 뚫고 들어온 햇살이 반사되고 있습니다. 화려한 케이크가 중심이 되는 앤디제이 작가가 선사하는 피크닉 테이블은 피크닉이라는 우리 삶의 일부를 보여주는 것 같으면서도, 화려한 파티에서 나올 것 같은 케이크와 식기류 그리고 소품들은 마치 동화속 혹은 천상의 피크닉 장면 같은 장면을 연출합니다. 앤디제이 작가는 자신의 작품이 감상자들에게 선물처럼 느껴지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작업하기에 이러한 환상적인 피크닉 장면이 연출됩니다. 하지만 작품 속 케이크는 삶의 기쁨과 즐거움이 찰나적으로 지나갈 수도 있음을 반면 작품 속 종교적인 클리셰와 편지들은 영원적인 가치를 표현하며 삶에 대해 성찰하도록 해줍니다. 또 작가의 이름과 같은 앤디와 제이 두 토끼 캐릭터를 찾는 것도 감상의 한 묘미입니다.

Joy Jo

“A record of space-time on the coexisting visible and invisible worlds”

Ahyoung Jo (aka Joy Jo) is an artist whose large-scale works delve into the unknown borders of cities, the world, and the universe beyond. To explore the edge between reality and subjectivity, her artistic approach revolves around creating abstract expressions, which attempt to capture these inner worlds and make them visible. Having spent extended periods in London and Germany, Joy Jo’s artistic journey is equally influenced by the cities she has spent time in as the philosophy she has consumed
Among her explorations, Joy Jo’s “Abstract Diary” series stands out as a prominent work. Comprising digital artworks of drawings incorporated into photographs, Joy Jo chronicles the places she has visited and transforms them into impressive cityscapes whose methods and appearances are inseparable from her inner emotions and interpretations of them at the time. In doing so, her “Abstract Diary” series both records and expresses the inner imagery and emotions of herself as well the cities she has been to, transcending the limitations of concrete words and images. The difference between tiny corners and vast chasms are not so different after all. To the human eye, they are both nearly incomprehensible, as is our emotions.
To date, Joy Jo has actively participated in over 5 solo and group exhibitions in South Korea, Australia, the U.K, and Germany.

조이조

“공존하는 가시적 세계와 비가시적 세계에 대한 시공간의 기록”

조이조 작가는 도시와 세계, 나아가 우주의 이면에 숨겨진 본질을 탐구하는 대형 페인팅 작업을 중점적으로 진행해왔습니다. 대상의 내면과 본질을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추상적 표현을 택했던 작가의 작업은, 런던과 독일에서의 긴 타지 생활을 통해 실재와 객관의 영역을 다시금 탐색하는 방향으로 발전됩니다. 이러한 작업의 연장선에 있는 작업 중 하나가 ‘추상 일기’ 시리즈입니다. ‘추상 일기’는 조이조 작가가 머물던 도시의 인상적인 장면과 특별한 날의 기억을 담은 사진 위에 드로잉을 더하여 특수한 형태의 디지털 작품으로 완성한 작품입니다. 작가의 시각으로 재해석된 도시의 추상 이미지는 어떠한 구체적인 기록이나 말보다도, 작가가 그날그날 포착한 도시의 감성을 정확하게 기록합니다. 즉, 도시가 가진 내면적 이미지와 그에 대한 작가의 감성을 관객으로 하여금 보다 객관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한 작가의 의도가 녹아 있는 작품들입니다.
작가는 국내를 비롯하여 호주, 영국, 독일 등지에서 다섯 번의 개인전과 다수의 단체전에 회화 작가로 참여한 바 있으며, 전통 페인팅과 디지털 페인팅, 오디오 비주얼 미디어, 컬렉팅 등 아트의 경계를 넘나들며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활동 중입니다.

Kyujin Cho

“Creation of the unknown hyper-realistic world.”

“The Unknown” is a collection born from a deep curiosity about what, exactly, lurks in the deep.
Over the course of evolution, some species have honed the art of attraction, like the flower. While others, like the elusive octopus, have perfected the art of concealment. Scientists estimate that there are over five million undiscovered species on Earth, but I have a feeling that the ones we don’t see, don’t want us to see them.
With an insatiable wonder for these hidden inhabitants on our shared planet, “The Unknown” embarks on a journey to explore where these cryptic creatures lurk and what they might look like. Drawing inspiration from the natural world, my creations meld together various parts of living flora and fauna, such as flower petals, jellyfish heads, and translucent sea creatures. And although they may appear visually attractive (to us humans, at least), each component of my artwork serves a dual purpose- it must also be functional, each appendage a sharpened tool in the crucial fight for survival. (For instance, flowers petals on their bodies grant the ability to elude predators while simultaneously attracting a mate, or prey)
Although the true appearance of these undiscovered creatures remains a mystery for now, they do allow us the opportunity to let our imagination roam free. They can be big or small, under our beds or from outer space, nobody knows. But as I craft each and every artwork, I humbly embrace the unknown, and hope by bringing them to life through my animation, I also bring them to life in your imagination, as well. There are still mysteries left in this vast world of ours, and I hope you have the chance to find joy in that.

조규진

“미지의 초현실주의 창조물”

저의 작품은 깊은 곳에 무엇이, 정확히 무엇이 숨어 있는지에 대한 깊은 호기심에서 탄생한 모음집입니다.
진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어떤 종은 꽃과 같은 매력의 기술을 연마했습니다. 찾기 힘든 문어와 같은 다른 종들은 은폐의 기술을 완성했습니다. 과학자들은 지구상에 발견되지 않은 종들이 5백만 개가 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지만, 저는 우리가 보지 못하는 종들은 우리가 그들을 보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는 느낌이 듭니다.
우리의 행성에 숨겨진 거주자들에 대한 만족할 수 없는 경이로움과 함께, 저의 작품들은 이 신비한 생명체들이 어디에 숨어 있고 그것들이 어떻게 보일지도 모르는 것을 탐험하기 위한 여행을 시작합니다. 자연계로부터의 영감을 끌어내며, 제 창작물들은 꽃잎, 해파리 머리, 그리고 반투명한 바다 생물들과 같은 살아있는 식물과 동물의 다양한 부분들을 하나로 합쳤습니다. 그리고 비록 그것들이 시각적으로 (적어도 우리 인간에게는) 매력적으로 보일지도 모르지만, 제 작품의 각 구성 요소들은 두 가지 목적을 수행합니다- 그것은 기능적이어야 하며, 각 구성요소는 생존을 위한 결정적인 싸움에서 날카로운 도구가 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그들의 몸에 있는 꽃잎은 짝이나 먹이를 유혹하면서 동시에 포식자들을 피할 수 있어야 합니다.
비록 아직 발견되지 않은 생명체들의 진짜 모습은 현재로서는 미스터리로 남아 있지만, 그것들은 우리에게 상상력을 자유롭게 펼칠 수 있는 기회를 줍니다. 그것들은 크거나 작을 수도 있고, 우리의 침대 밑이나 우주에서 온 것일 수도 있지만, 아무도 모릅니다. 하지만 제가 모든 예술작품을 만들면서, 저는 겸손하게 미지의 것들을 받아들이게 되고, 저의 애니메이션을 통해 그것들을 살아나게 함으로써 여러분의 상상 속에 또한 그것들을 되살리게 됩니다. 하지만 저는 작품 하나하나를 만들면서 미지의 것을 겸허하게 받아들이고 제 애니메이션을 통해 그것들에 생명을 불어넣음으로써 여러분의 상상 속에서도 새로운 생명으로 되살아나기를 바랍니다. 이 광활한 세상에는 아직 미스터리가 남아 있고, 저는 여러분이 그 안에서 기쁨을 찾을 수 있는 기회가 있기를 바랍니다.

Rokkankim

“An artist who montages the past and the present”

Kim Jonghyuk(aka Rokkakim) is as much an architect or historian as he is an artist, building vast worlds that link together the past with the present.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1960s-1970s American culture and the Cold War era, his work mixes collages and videos in a darkly comedic manner that invites the kind of interpretation a historical document might when viewed from both the victor and the vanquished.
With an interest in history, space exploration, architectural styles, design, fashion, and more, RokkanKim has made a name for himself as a uniquely versatile artist in the web3 space. Having sold out 60 editions NFT on Upbit NFT marketplace(largest NFT marketplace in Korea) and being chosen as one of the first artists for the WEMADE NILE NFT marketplace in 2022, RokkanKim’s influence spans not only Korea, but also the USA, Southeast Asia, and beyond, and he has collaborated on notable projects like Valentine`s “Glenburgie 12 years” and Samsung TV NEO QLED 8K.

로칸킴

“과거와 현재를 몽타주하는 아티스트”

로칸킴(Rokkakim/김종혁)은 예술가 이상으로 건축가이자 역사가로서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광대한 세계를 구축합니다. 특히 1960~1970년대 미국 문화와 냉전 시대에 중점을 둔 그의 작품은 콜라주와 비디오를 혼합하여 승자와 패배자 모두의 관점에서 바라본 역사적인 자료들을 해석하는 과정으로 관객을 초대한다.
역사, 우주 탐험, 건축 스타일, 디자인, 패션 등에 대한 관심으로 로칸킴은 web3 주목받는 아티스트로 이름을 알리고 있습니다. 업비트 NFT 마켓플레이스(국내 최대 NFT 마켓플레이스)에서 60에디션의 NFT를 완판하였고 2022년 위메이드 나일(WEMADE NILE) NFT 마켓플레이스의 첫 번째 아티스트로 선정되었습니다. 그의 영향력은 한국뿐만 아니라 미국, 동남아시아 등 전 세계에 걸쳐 확장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는 발렌타인 ‘글렌버그 12년’, 삼성 TV NEO QLED 8K 등 주목할 만한 프로젝트와 협업해오고 있습니다.

THE LOVE CHILD

Jay Gittens, known to the art world as The Love Child, is a self taught painter who launched into the scene selling his work on the busy streets of Soho. After immigrating to New York from his birthplace of Grenada, The Love Child found his voice in the colorful and vivid paintings that would go on to become his charismatic style.  Inspired by his youth living in an island country, he brings the rich imagery and colors he was surrounded with growing up to his artwork.  His exuberant style can be described as expressive, whimsical and playful.  The Love Child makes use of warm vivid colors in his paintings which he believes affect the positive and pleasurable senses of his audience.  Not wanting to be constrained by a singular mode, his work passes between narrative and more abstract imagery in a harmonious way.  Both hold the presence and power of a singular artist with a unique sense of individuality.

Fansack(팬색)

Born in 1988, Pang Fan (aka Fansack) is one of China’s most prolific and recognizable urban artists. As a pioneer of graffiti art in China since the early 2000s and a former apprentice to legendary Paris-based painter Cyril Kongo, Pang Fan eventually earned an undergraduate degree in Visual Arts from the University of Marseilles (2008) and a masters of Fine Arts from Sorbonne University. Through his use of canvas, murals, installations, and other methods, Pang Fan’s work has always focused on elements of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y, religion, and science. Yet, by deconstructing and reassembling a colorful cast of characters, plants, and animals from the pages of Eastern mysticism and fusing them with symbolism and imagery typically found in modern street culture and fashion, Pang Fan’s work is able to blend contemporary Pop and Urban Art aesthetics with more ancient oriental sensibilities. The final product is a rich and deeply layered universe that is both simultaneously Zen and in a constant state of spiritual and materialistic conflict.
To date, Pang Fan’s works have been collected by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institutions, including the Musee en Herbe (France), Yanlord Land (China), the Pearl Art Museum (Shanghai), and the Swire Group (Hong Kong). In 2014, Fansack had the great honor of being the only Chinese artist chosen to display his work in the Paris Dali Museum as part of the exhibition Dali Fait le Mur.

1988년 생인 아티스트 팡팬(Pang Fan/예명 팬색(Fansack))은 중국 미술계를 선도하는 젊은 작가이자 다작의 활동을 하는 것으로 유명한 작가입니다. 팬색은 2000년대 중국 그래피티 아트의 전설이자 파리 기반으로 활동하는 시릴 콩고(Cyril Kongo)의 어시스턴트로 작업을 시작해서 이후 마르세유 대학에서 시각 예술 학사 학위(2008)를, 소르본 대학에서 예술학 석사 학위를 취득합니다. 캔버스 작업, 벽화, 설치 및 여러 다양한 매체를 통해서 팬색은 항상 동서양의 철학, 종교 및 과학적 테마 등에 전착하며 작업을 해왔습니다. 또한 그의 작품은 동양의 고대 판타지의 인물과 사물들을 재해석한 캐릭터에 패션 로고 및 스트리트 아트 등의 상징을 차용하여 동양 고전과 현대의 팝아트 및 스트리트 아트를 융합한 캐릭터와 표현을 특징으로 합니다. 
지금까지 팬색의 작품은 프랑스의 뮤제 앙 허브(Musee en Herbe), 중국의 얀로드 랜드(Yanlord Land), 상하이의 펄 미술관(the Pearl Art Museum), 홍콩의 스와이어 그룹(Swire Group) 등 중국 내외 다양한 기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팬색은 또한 2014년 달리 페이탈 무르(Dali Fait le Mur) 전시회의 일환으로 파리 달리 박물관에서 자신의 작품을 전시하도록 선택된 유일한 중국 예술가라는 큰 영광을 누렸습니다.

 

DONGZADONGWHI (동자동휘)

Strike a pose! On the surface, the frenetic characters and colors who inhabit Korean artist DONGZADONGHWI’s work are dramatic enough to turn heads in busy traffic. But one double-take reveals a whole ecosystem of emotions roiling beneath the surface. As a millennial on the cusp of South Korea’s tidal wave of global influence, DONGZADONGHWI’s childhood was tumultuous, but it was still a childhood rooted in the 90s nevertheless. Thus, a fascination with rock and roll idols developed, the more rebellious the better. From Japan’s Hide to England’s David Bowie and back again to native Korean rock star SeoTaiji, these solitary figures loomed larger, louder, and more colorful than life itself to the young artist- and their styles, attitudes, and even poses still strut beneath the strokes of his artwork today. Yet, they are also in conversation with the patterns and images found in traditional Korean folklore, the kind of stories filled with hope that are so often told to boys and girls who cannot go to sleep at night. Given this context, the frequent motif of a bird is a fitting choice for an artist who approaches each work like a chapter in a bildungsroman, mixing equal parts childlike wonder with reckless teenage abandon to produce something that yearns to break free and take flight upon a global stage. As a video artist since 2015, DONGZADONGHWI enjoys collaborating with musicians and his progression to the realm of web3 was a natural one- his thirst for color only rivaled by his search for life’s meaning beyond mediums, from painting to sculpture and now NFTs.

DONGZADONGHWI 작가는 그림부터 영상, 오브제 등을 작업하는 작가입니다. 그는 한국에서 태어나 미술 교육을 정식으로 받은 적은 없지만, 어린 시절 그림을 그릴 때의 즐거움 그리고 영화, 만화, 음악 등 다양한 예술에 대한 탐닉이 그를 작가로 이끌었다고 합니다.
DONGZADONGHWI 작가의 작품은 원색의 색감과 움직임이 느껴지는 듯한 역동적인 에너지를 특징으로 합니다. 그의 작품에는 극적인 동작을 펼치는 인물 군상이나 다양한 포즈의 인물에 포커싱한 인물 뒤로 다채로운 색의 배경이 펼쳐집니다.
그가 이런 작품 세계를 갖게 된 데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은 음악과 어린시절의 경험입니다. 90년대 한국의 힙합스타 SeoTaiji 일본의 락커 Hide 그리고 David Bowie를 좋아하던 그의 작품에는 이러한 음악들의 색체가 묻어나고 작가는 이들의 붉은 머리색을 좋아해서 즐겨 사용하는 색상이 되었습니다. 또 그는 민화에서 볼 수 있는 화려한 문양과 상징에서도 영향을 받아, 감정을 교감하는 매개체로 ‘새’의 이미지를 자주 표현합니다. 또 어린시절 어려웠던 가정 환경으로 일찍부터 다양한 일을 하며 접한 여러 경험들 그리고 어려움 가운데 어머니에게 받은 긍정성은 그의 작품에 여러 형태로 투영되었다고 합니다.
DONGZADONGHWI 는 순수예술 작가로 활동하며 2015년부터 해오던 영상 작품들을 통해 2021년 NFT Artist 로 데뷔하였고 이때부터 전업 작가로 활동하기 시작했습니다. 여러 차례의 그룹전과 2차례의 개인전을 개최하며 뮤지선 및 NFT 프로젝트들과 콜라보레이션 작업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Miné.K (김미네)

The yellow teddy bear at the center of Korean Artist Mine Kim’s work, named “NOBODY”, is also the star of their own life, and seems to have lived a million of them so far. As such, their adventures may seem oddly familiar to viewers. Bright, button-eyed, and bursting at the seams to be noticed, that teddy bear is YOU! Well, that’s not entirely true. It’s you, but it’s also me… It’s everybody, but more importantly, nobody. Confused? That’s to be expected. Life is confusing, and other people’s lives even more so. As a fairy tale illustrator and devotee of James Joyce, Mine Kim’s semi-autobiographical series “Dear NOBODY” delights in elevating the everyday to extraordinary heights through the eyes of her cuddly main character, and relishes in portraying all the details and people that occupy that space and time with us, often simultaneously. Likewise, by literally naming her bear “NOBODY,” Mine Kim is able to defy age, gender, occupation, nationality, and more to bring us closer to something like a “universal experience” of the everyday person. In the words of the artist: “The Meaning of the meaningless’ is the most important phrase in my artwork. Thus, NOBODY could be everybody.”

김미네 작가는 NOBODY라는 곰인형 캐릭터와 세계관을 창조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업하는 작가입니다. NOBODY는 우리의 일상의 단면이나 취향, 직업들을 NOBODY 캐릭터를 통해서 표현하는 시리즈 작업입니다. NOBODY의 다양한 모습들은 특별함을 추구하지만 결국은 수많은 이들 중의 하나인 가장 보통의 나와 타인을 직면하게 되는 현대인에 대한 초상입니다.
김미네 작가는 어린시절부터 그림 그리는 것을 좋아했지만 부모님의 반대로 미술대학에 진학하지는 못했습니다. 하지만 동화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동하면서 그녀의 자전적인 이야기 Dear.NOBODY를 구상하여 여러 플랫폼에 올린 것이 계기가 되어 한 갤러리에서의 전시를 시작으로 작가로 활동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김미네 작가는 미국의 아티스트 로이 리히텐슈타인의 만화적이면서도 철학을 담고 있는 작품들에서 시각적으로 큰 영향을 받았고 작업의 태도에 있어서는 매일의 일상을 기억하고, 그 일상의 사소한 이벤트들이 주는 깨달음에서 작품의 소재를 얻는다는 제임스 조이스의 작업 철학에서 가장 큰 영감을 받아 작업한다고 합니다.

Lee Hyo-sun (이효선)

Blue is the tried and true tune of the melancholic masses. This much everyone knows to be true. But must it be the only truth? After all, is there any greater sign of optimism than a cloudless summer sky, resplendent in its vastness and brimming with hope? For Korean artist Lee Hyosun, blue is the shadow that lines her soul, and by making eye contact with her blue hazy-eyed figures, we too can step inside her universe and bathe in its serene afterglow. Indeed, for the characters in Lee Hyosun’s work, eye contact and body language seem to be the only way to communicate- for they don’t have mouths. And this is intentional! Language can be tricky, but eyes never lie, and actions always speak louder than words. In viewing her work, Lee Hyosun pushes viewers toward self-reflection, and urges us to remember that we cry for two reasons: When we are happy, and when we are sad, and at that time we use the same blue color.

“인간의 감정을 보여주는 하나의 은유” 인 그림이라는 매체에서 이효선 작가는 자신의 내면적 감정을 주로 묘사합니다. 작품 속 입이 없고 몽롱한 눈빛의 푸른 인물은 중요한 표현의 매개체입니다. 푸른 블루(Blue) 색상으로 떠올리는 여러 가지 의미 중에서 이효선 작가는 우울하지만 평온한 블루로 작가의 내면적 감정 만이 아닌 감상자들로 하여금 각자의 지극히 개인적인 이야기들도 고요하게 그리고 깊은 여운으로 대입시켜 이어지게 하는 또 다른 세계로 빠져들게 합니다. 작품의 주제명 또한 서정적인 시처럼 표현하여 그림을 감상하는 것 말고도 또 다른 새로운 이야기들을 만들어 냅니다.
이효선 작가의 작품에 표현되고 느껴지는 여러 감정들 중에서 작가는 슬픔이라는 감정이 모든 감정의 종착점이라 말합니다.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하는 행복한 순간에 흐르는 눈물, 그리운 시절을 떠올리며 가슴 뭉클해지는 감정 등을 작가는 푸른 인물을 통해 표현합니다. 그래서 이효선 작가의 작품은 슬픔도 담겨있지만 반대로 잔잔하고 따뜻한 위안이 느껴지기도 합니다. 우울할 수도 있는 차가운 블루가 주는 또 하나의 따뜻함과 가슴 뭉클함이 이효선 작가의 작품에 담겨있습니다.

Rowa (로와)

Rowa is illustrator, digital artist, and fashion designer. There is just something so alluring about the worlds she creates, and the conflicting elements she brings to the table are often as delicious as they are grotesque. A little bit of sweet, a little bit of salty.
“While majoring in fashion, I especially liked Alexander McQueen and Vivienne Westwood, and the mix and match of feminine lace materials and mannish and strong leather materials, and the heterogeneous combination of traditional British clothing, punk, and deconstructionist details. The inspiration I received from this has continued into my current work.”

로와(Rowa)는 서울에서 디지털 아티스트이자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SADI(Samsung art&design institute)에서 패션디자인을 전공하였으며 인물 묘사와 다양한 컬러, 스토리텔링을 다루는 커리큘럼을 통해 패션과 아트라는 비슷하면서도 다른 두 영역을 오가며 크리에이터로 성장하였습니다.

로와는 섬세하고 고전적인 스타일의 스케치와 선명하고 현대적인 컬러의 조합으로 몽환적인 분위기를 작품에 표현하고 있으며. 각각의 세계에서 온 듯한 상반된 분위기의 요소를 한 이미지에 담아 낯선 아름다움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로맨틱적인 요소와 그로테스크한 요소를 상충시키는 등 이질적인 분위기를 만들어
감상자로 하여금 궁금증을 자아내며, 상력을 자극하는 미스터리한 스토리텔링의 다채로운 세계를 작품에 담아내고 있습니다.

Mothfly (모스플라이)

Rowa is illustrator, digital artist, and fashion designer. There is just something so alluring about the worlds she creates, and the conflicting elements she brings to the table are often as delicious as they are grotesque. A little bit of sweet, a little bit of salty.
“While majoring in fashion, I especially liked Alexander McQueen and Vivienne Westwood, and the mix and match of feminine lace materials and mannish and strong leather materials, and the heterogeneous combination of traditional British clothing, punk, and deconstructionist details. The inspiration I received from this has continued into my current work.”

모스플라이(Mothfly) 작가는 아티스트이자 그래픽 디자이너 그리고 일러스트레이터입니다. 그림을 그리고 싶고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 싶다는 생각은 그의 활동 범위를 디자이너에서 일러스트레이터 그리고 아티스트로 넓혀 주었습니다. 모스플라이 작가는 자신의 낙서에서 발견한 형상들을 발전시켜 작업합니다. 그리고 캐릭터와 상황에 본인의 이름과 기호, 성격 등을 부여하여 작품을 완성합니다. 때로는 작업은 완전히 우연적으로 이뤄지는데, 그의 작품들은 결과적으로 넓게 흩어 놓은 작가의 초상과 같다고 합니다. 마치 7-80년대 미국 카툰의 한 장면을 보는듯한 그의 작품에는 동시에 곳곳에 한국적인 클리셰들이 숨어있습니다. 어린시절 비주류들이 히어로가 되는 미국 영화 그리고 <심슨>, <사우스파크> 같은 블랙코미디 애니메이션을 좋아하던 자가의 취향과 그가 자란 서울의 가리봉동, 장수막걸리 그리고 크립토코인 중독 같은 개인적인 사건들 같은 이질적인 것들이 어우러지며 아티스트의 초상을 만들어 냅니다. 아티스트로서 그를 이끄는 또 하나의 원동력은. 설득할 목적이 없는 이야기로도 이들의 감정을 움직이게 할 수 있다는 예술만의 매력과 Web3 상에서 예술에 대한 새로운 실험들이라고 합니다.

Molly (몰리)

Molly is a product of the times, and his characters reflect it. Multicultural and multinational is the name of the game, and stepping into his comic book Universe is like dunking your head in a retro pinball machine, in a good way! Ricocheting between the subcultures of hip hop, cyberpunk, and skateboarding, his artwork reflects the visual language of each and explores where they overlap and rub off on each other. In doing so, he is able to bring his themes to life through the use of conceptual characters that mirror unique qualities in humorous situations, and present captivating stories that challenge prejudice in the age of the internet

일러스트레이터 몰리(Molly)는 유학 생활을 통해 경험하고 접했던 다양한 인종과 문화, 사회문제 그리고 자신의 이야기를 작품에 담습니다. 80년대 말부터 시작된 힙합 음악 문화, 사이버펑크, 그리고 캐주얼 스포츠의 발달로 시작된 스케이트보드 놀이 문화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아 작품에 녹아내고 있으며 90년대의 소위 하위문화라 단정 지었던 것들 속에서 새로운 가치를 더하고 또 다른 다양한 매체를 통해 영감을 얻으며 작품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작가만의 확실한 특징을 담고 있는 컨셉츄얼한 캐릭터들과 일상에서 일어나는 재미있는 상황과 비비드 한 색감을 통해 편견 없이 수용하는 자신의 이야기와 사람들에게 친숙한 카툰풍 그림체로 우리 사회에 만연하고 방관 되는 편견과 고정관념에 대한 이야기를 그림으로 담고 있습니다.

Johnny Boy (조니 보이)

Love is a concept that has been packaged and sold to us by all manner of advertisers and dreamers, and for good reason. It’s just so darn appealing. But for Korean artist Johnny Boy, he wants to present it as it truly is, unwrapped and free of all the boxes that contain it. As a student of automobile design, illustration, and fine arts in the U.S., his work adores texture and delights in its use, whether his characters are squished, solid, or runny, and he draws massive inspiration from the science and engineering side of the spectrum, a place not normally known for emotion. In his latest “Wrapped” and “Duplication” series based on the process of cell division, his signature heart characters melt and stretch into physically impressive but no doubt terrifying shapes. This is used to represent the extent to which we love one another beyond all sweetness and into sacrifice and devotion. LIkewise, as an artist who once described art as a “life force,” Johnny Boy’s central theme is always to always to “love and be loved,” which is a lofty aspiration to both live by and pursue creatively.

사랑은 때때로 모든 종류의 광고와 몽상가에 의해 포장되고 상품화되는 개념입니다. 그러나 아티스트 조니 보이(Johnny Boy)는 그것을 포장한 모든 포장을 풀고 있는 그대로의 사랑을 표현하려고 합니다. 미국에서 자동차 디자인, 일러스트레이션, 순수 미술을 공부한 그는 특히 질감의 느낌을 잘 표현하는데, 이를 통해서 그의 시그니처 캐릭터가 흘러내리게도 소용돌이 치게도 때로는 강철처럼 보여지게도 합니다. 그는 또한 이러한 다양한 물질성을 통한 캐릭터의 왜곡된 외형을 통해 사랑의 달콤함을 넘어 희생과 헌신 등 사랑의 더 다양한 면을 표현합니다.
예술가로서 조니 보이의 중심 주제는 항상 “사랑하고 사랑받는 것”이며, 이는 삶과 창조적 추구 모두에 대한 작가의 숭고한 포부입니다.

Will`s Planet (윌스 플래닛<)

Imagine a world destroyed by “high intellect’s” high technology. Not hard to do, we see signs of it everywhere in the form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climate change. Now imagine a world fully healed by the hand of the divine, a planet whose fantastical flora and fauna positively blossom within a strange and ever evolving garden of Eden. Welcome to the fever dream of Korean artist Kim Jiwon, aka Will’s Planet, a place where the food chain has been turned upside down and humans now inhabit the lowest rungs on the ladder both intellectually and physically. Inspired by the imaginative musings of a lonely childhood and the accompanying graffiti doodles that emerged in high school and later military training, Will’s Planet is a positive spin on a post-world scenario. Think “Adventure Time” meets “Don’t Starve” with a dash of Hieronymous Bosch for good measure. Through every frame, Will’s Planet conveys a sense of infinite potential in the absence of our own worldly affairs, and of future adventures yet untold.

“‘높은 지능’의 첨단 기술에 의해 파괴된 세계를 상상해 보십시오. 이제 신의 손으로 완전히 치유된 세계, 이상하고 끊임없이 진화하는 에덴동산에서 환상적인 생물체들이 적극적으로 꽃을 피우는 행성을 상상해 보십시오. 먹이 사슬이 뒤집어지고 인간이 지적으로나 육체적으로 생태계의 가장 낮은 단계에 거주하는 윌스 플래닛(Will`s Planet), 김지원 작가의 열광적 꿈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작가가 이런 세계관 하에 작업을 하게 된 데는 작가의 어린 시절의 경험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작가는 어린 시절 집에 혼자 있어야 했던 적이 많았는데, 그럴 때 그림을 그리며 상상하던 것이 외로움을 달래 주었고 지금의 작업 습관으로 연결되었다고 합니다. 또 학교에서 군대에서 지루할 때면 하던 낙서들이 윌스 플래닛의 다양한 캐릭터를 만들어 냈습니다. 특히 애니메이션 <핀과 제이크의 어드벤처타임> 그리고 게임 <돈스타브>는 완벽하게 작가의 취향이었고 많은 영향을 받았다는 작가는, 윌스 플래닛을 통해 자신의 예술 모험을 펼치고 있습니다.

[ 1, 2 ]